어쩌라구..?? ㅡㅡa..

Posted
Filed under Linux/tip
apt-get으로 mplayer 다운로드 받았다고 해서 dvd를 볼 수 없다.
그냥 재생하면 cache fill 올라가다가 중간에 뻗는다.
그대로 디스크만 벅벅 읽어대는데, 마냥 기다린다고 해서 재생이 되지는 않는다.

console을 하나 띄우고 아래 둘중의 하나를 실행시켜 보라.
$ mplayer dvd://1
or
$ gmplayer dvd://1

그리하여 다음의 메세지가 콘솔에 출력된 메세지중에 있는지 확인해 보라.
libdvdread: Encrypted DVD support unavailable.
************************************************
**                                            **
**  No css library available. See             **
**  /usr/share/doc/libdvdread3/README.Debian  **
**  for more information.                     **
**                                            **
************************************************

Ubuntu라면 100% 메세지가 있을 것이다. ㅡㅡ;
이 문제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로서 재생이 안된다고 하드웨어 고장은 아니니 안심하자.

원인은 libdvdcss 라이브러리가 없어서 재생이 안되는것이고, 이 라이브러리는
저작권인지 뭐시긴지 하여간 그런 문제가 있어서 기본 패키지에 없고 apt-get으로도
설치할수 없다.

그러나 메세지에 있는 경로를 따라가 보면 어찌 하라는 말이 있고,
다운로드 해 주는 스크립트까지 있다. (다행이군..)
단 스크립트는 root 권한으로 실행시켜야 한다.(6.06에서..)
$ sudo /usr/share/doc/libdvdread3/examples/install-css.sh

6.10에서는 이렇게..
$ sudo /usr/share/doc/libdvdread3/install-css.sh


설치하고 재생해보면 잘 될것이다.
2006/05/06 21:11 2006/05/06 21:11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설치하면서 별도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했던 패키지들을 첨부하였다.
libstdc++은 firefox실행시에 필요하고, kde는 메뉴 한글화 하는데 필요하다.

root id사용법 :
우분투에서는 sudo 명령을 사용하여 root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번거롭기도 하고 root 권한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root의 기본 패스워드는 모른다.
그럴때는 sudo passwd root 를 실행하여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그러나 root 패스워드를 바꾸면 시스템 설정 툴이 모두 동작 안하게 된다.
잠시 루트쉘이 필요하면 sudo -s -H 명령으로 루트쉘을 쓸수 있다.

보안상 좋지는 않지만, /etc/sudoers 파일을 수정하면 sudo 명령을 사용할때
패스워드 없이 실행하게도 할 수 있다.
root ALL=(ALL)ALL
이 라인을
root ALL=(ALL) NOPASSWD: ALL
이렇게 바꾼다.
수장하고나면 sudo 를 이용할때 패스워드 없이 실행된다.

sudoers 파일을 수정할때는 반드시 visudo를 이용하여 수정한다.
만약 파일이 잘못되면 그때부터 sudo명령을 전혀 사용할수 없게 된다.
따라서 sudoers 파일을 다시 수정하는것도 불가능해진다. 주의할것.

인터넷 연결 설정 :
/etc/networks/interfaces
에 설정이 저장되어 있다.

rpm을 데비안 패키지로 바꾸기 :
alien 툴을 이용하여 바꾸는데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apt-get으로 설치하여
사용한다.
sudo alien -d kde-i18n-Korean-3.3.0-5hs.noarch.rpm
이렇게 쓰면 된다.

한글 설정 관련 문서 :
첫화면에서 apt관련 설정 추가로 해주고 nabi를 받으면 깔린다.
그후 nabi 설정을 해 주는데 .xmodmap으로 만들면 뻗는 경우가 있었다.
http://www.ubuntu.or.kr/wiki.php/FrontPage
http://www.ubuntu.or.kr/wiki.php/SettingInKubuntu
기본으로 한영키가 인식되지 않으므로 한영키를 인식시켜야 하는데
setkeycodes 71 122
setkeycodes 72 123
을 root권한으로 실행하고
xmodmap -e "keycode 209=Hangul_Hanja"
xmodmap -e "keycode 210=Hangul"
를 실행하거나 적절한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키코드 값은 시스템에
따라 다를수 있으니 xev를 이용하여 확인해보도록 할것.
setkeycodes는 /etc/init.d/bootmisc.sh 안에 기록하면 부팅할때
자동으로 실행된다고 한다.
x윈도 키코드 설정은 ~/.Xmodmap에 기록해도 된다고 한다.

개발 환경 설치 :
우분투에는 개발 관련 프로그램들이 아무것도 설치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apt를 이용하여 설치해주어야 한다. 개발에 필요한 패키지는 build-essential
패키지이다.
커널에 관련한 개발에서 필요한 커널 헤더의 패키지는 linux-headrs-386
이다. (본인의 경우)
2006/04/13 04:52 2006/04/13 04: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