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라구..?? ㅡㅡa..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참조 링크 : http://wiki.bluez.org/wiki/HOWTO/AudioDevices

내가 사용중인 블루투스 동글은 웨이브시스텍 BT-2000S 모델이고
헤드셋은 Jabra BT620S를 사용중이다.
혹시나 리눅스에서 동작하는 동글 찾는사람 있을까봐 미리 적는다.

환경은 우분투 7.10 gutsy 에서 설정한 내용이다.
다른 배포판이라도 bluez-util 라이브러리 버전이
3.16이상이면 모두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고 한다.
설정법도 매우 간단하다.

일단 블루투스 장치를 활성화 시키고 블루투스 장치를 인식했다는 메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홈 디렉토리에 .asoundrc 파일을 만든다. 기본으로 파일이 없다.
pcm.bluetooth {
  type bluetooth
  device 00:13:17:72:4E:13  # User's headset address
}

pcm.!default {
  type plug
  slave.pcm "bluetooth"
}

#pcm.!default {
#  type route
#    slave.pcm "bluetooth"
#    ttable {
#      0.1 = 1
#      1.0 = 1
#    }
#}

파일 내용을 좀 들여다 보면,
pcm.bluetooth 항목에서 device 번호를 사용자에 맞도록 설정해 주어야 한다.
헤드셋을 페어링 상태로 두고 쉘에서 hcitool scan 명령을 실행시켜 검색해보면
헤드셋의 주소를 알 수 있고, 그 값을 적어주면 된다.

나머지 두 항목은 디폴트 출력 장치를 설정하는 부분인데,
주석(#)으로 묶여있는 항목은 헤드셋의 좌.우를 바꾸는 설정이다.
어떤 모듈인지는 모르겠으나, 블루투스로 들으면 좌.우가 바뀌어 나오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이런 현상이 있으면 주석을 이용해서 바꿔 주면 해결된다.

그리고 디폴트 항목을 둘 다 주석처리하면
원래 사운드 장치로 출력을 되돌릴수 있다.

설정을 마쳤으면 alsa 시스템을 재시작시킨다.
$ sudo /etc/init.d/alsa-utils restart
그리고 헤드셋을 페어링 모드로 바꾸고 음악을 재생하면
페어링 키 값을 넣으라는 메세지가 뜬다.
키 값을 넣고 정상적으로 연결되면 음악이 잘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을것이다.
2007/12/13 06:38 2007/12/13 06:38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거창한 강좌를 쓰는건 아니고,
우분투에서 디렉토리 공유 툴은 잘 되어 있는데,
문제는 공유를 해 놓고 프로세스가 돌아도 연결이 안된다는거..

공유 걸어놓고 윈도에서 연결하면 id/pass 창이 뜨는데
분명히 제대로 연결해도 계속 id/pass 만 묻는다. ㅡㅡ;

이건 우분투 7.10 버그이고 해결법은 다음의 명령을 쉘에서 입력한다.
$ sudo smbpasswd username -a
명령에서 username은 자기가 로그인할 아이디로 바꿔주면 되고,
그  다음부터는 윈도에서 정상적으로 연결이 된다.

문제는 윈도에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전송하는데,
우분투의 패스워드 목록에 저 사용자가 없기 때문이고,
7.10에서 툴을 잘못 만들거나 시스템을 잘못 설계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이전 버전까지는 이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안해봐서 잘 모르겠지만서도..

추신 :
이전 버전 삼바서버 설치 문서를 보니
예전부터 수동으로 사용자 추가 하라고 되어 있었다.
불편하긴 하지만 보안을 위해서는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긴 하나
GUI로 서버를 설정할수 있게 한다면
사용자도 GUI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2007/11/05 14:46 2007/11/05 14:46
Posted
Filed under Linux/tip
출처는 여기 : [완료]우분투 7.10, 노틸러스에 글자 등을 입력 할 수 없는 문제

이번에 키보드를 바꿔서 문제가 생겼나 했더니 gnome 자체 문제였다.
feisty보다 상당히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준다 gutsy는.
이제는 우분투도 무언가 버전별로 바뀌어간다는 느낌보다는 정착해서 안정화 하려한다는 느낌이 크다.

나는 뭐가 제일 좋은 해결책인지 모르겠어서
아직 시스템을 변경해 놓지는 않았는데
조만간 답을 찾는대로 이 글을 수정할 것이다.

노틸러스를 해결하면 네이트온이 문제가 생긴다니.. 쩝.
아직은 네이트온이 더 쓸모가 많다. 그러므로 양쪽 다 좋은 해답을 찾을때까지
일단 보류다.

급하면 입력 칸에 우클릭해서 scim으로 바꾸면 입력 잘 된다.
지금은 이렇게 쓰련다.
2007/10/26 06:06 2007/10/26 06:06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6월 1일부로 ubintu 6.06 (DapperDrake)가 릴리즈 되었다.

개선사항은 알아서 찾으시고, (ㅡㅡ;)
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했던 기록이다.
지우고 새로 설치한다면 이 글을 볼거 없다. 다른 좋은 글 많이 있다.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몰라서 ubuntu 사이트를 이리저리 뒤져보다가
발견하였다.

DapperUpgrades : ubuntu wiki이다. 이 글은 여기에 있는 내용을 대충번역 & 설명이다.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에는 크게 세가지 방법이 있다.
1. UpdateManager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2. 쉘에서 명령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3. alternate CD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나는 3번 방법을 이용하였다.
일단 다운로드 받아서 시디로 구워버린다음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몰라서
이리저리 찾다가 네트워크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는걸 알았다. ㅡㅡ;
그러나 일단 다운로드 받아서 CD로 구워놨는데, 다시 다운받는다는건
대단한 삽질이자 뻘짓이므로 CD로 업그레이드 하기로 하였다.

CD로 업그레이드할때는 반드시 alternate CD가 있어야 한다.
desktop 이나 server CD는 오로지 새로 설치밖에 할 수 없다.

2번과 3번 방법은 비슷하다.
root 권한으로 /etc/apt/sources.list 파일을 편집기로 연다.
유요한 라인(주석이 아닌 라인)의 'breezy'를 'dapper'로 모조리 바꾼다.
저장하고 편집기를 종료한 후,

3번 방법으로 업그레이드 하려면 다음의 명령을 실행한다.
sudo apt-cdrom add
CD를 넣으라고 나올것이다. CD를 넣고 엔터를 누르면 CD를 막 읽으면서
뭔가 설정을 할 것이다.

이제는 실제 업그레이드를 수행 할 차레인다. 2, 3번 방법 모두 다음의 명령을
실행한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한참을 다운로드 받던지, CD를 읽던지 하면서 열~~ 심히 업그레이드 할 것이다.

시간 꽤 걸리므로 인내를 가지고 기다려야 하고, 설정 할때 이전 시스템 설정과
새 시스템 설정이 충돌한다면 경고를 보여줄것이다. 적절히 선택하자.

설치가 다 끝나고 쉘로 돌아오면 업그레이드가 끝난것이다.

그러나 업그레이드 한 후에는 이전 버전에서 사용하던 패키지나 설정이 없어지는것이
있으므로 이 컴퓨터에서 하던 작업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여 필요한 설정을 추가로
해야 한다.
2006/06/03 16:36 2006/06/03 16:36
Posted
Filed under Linux/tip
디스크를 사용하는데 읽기/쓰기 옵션이나 DMA 사용 여부 등의 설정을
수동으로 해야 하거나 설정을 볼 필요가 있을 때가 있다.
이럴때 hdparm을 사용한다.
$ hdparm /dev/hdc
이 명령을 입력하면 hdc의 현재 설정을 보여준다.

설정을 하려면 디바이스 이름과 함께 옵션을 적어주어야 하는데,
디바이스의 설정을 바꾸는것은 물론 root만 가능하다.
현재 설정을 보는것만이라면 root가 아니라도 볼 수 있다.
2006/05/08 20:37 2006/05/08 2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