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에 쓰던 haansoft나 core4가 자꾸 문제가 생기고 버전이 오래되어
core5 나온참에 바꿔버렸는데, 한동안 ubuntu를 쓰다보니 redhat계열 배포판들이
더 불편하게 느껴지던 참이었다.
이 글은 설치후 사용하면서 했던 설정, 삽질들의 기록이다.
새로운 삽질이 성공하면 새로 업데이트 할것이다.
한글 및 한영키 설정 :
2.6 커널의 문제로 처음 설치하고나면 한영키, 한자키가 전혀 인식되지 않는다.
xev를 사용하여 체크해보아도 아예 키 입력 자체가 인식되지 않는다.
이 문제는 2.6커널 한영키 인식문제 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글을 참조한다.
이것은 fedora만의 문제가 아니라 2.6커널을 사용하는 거의 모든 배포판들에
공통되는 문제이다. 국내에서 만든 배포판들만 문제가 해결되어있다.
yum.conf 설정하기 :
fedora 처음 깔고 yum 쓰기 시작하면 속 터진다. 대책없이 느린 다운로드에,
그나마도 받다가 서버리면 난감하고 잠시후면 속 터진다.
원인은 외국 서버에서 파일을 받아오기 때문이다.
고로 국내 서버에서 받도록 하면 대단히 빨라진다. 음하하하하~
먼저 베껴온 출처부터 밝힌다. 당근빠다 내가 첨 발견한게 아니다.
yum -y update가 빨리 되게 하기 - Darth ssanzing
linux - yum.conf setting - AngKa FrEe Ong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Fedora 딱 깔면 설정되어있는 yum 서버들이 죄다 외국걸로 물려있다.
그 파일을 뜯어고쳐서 국내 서버로 돌려주면 된다.
국내에서 Fedora Mirror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곳은
kreonet과 kaist이다. (왜 우리학교는 없는 거시여? ㅡㅡ;)
/etc/yum.conf 파일 열어서 다음의 내용을 복사해다 제일 마지막에 붙여넣는다.
[core]
name=Fedora Core 5
baseurl=http://ftp.kaist.ac.kr/pub/fedora/linux/core/5/i386/os/
[updates]
name=Fedora Core 5 updates
baseurl=http://ftp.kaist.ac.kr/pub/fedora/linux/core/updates/5/i386/
[extras]
name=Fedora Core 5 extras
baseurl=http://ftp.kaist.ac.kr/pub/fedora/linux/extras/5/i386/
또는name=Fedora Core 5
baseurl=http://ftp.kaist.ac.kr/pub/fedora/linux/core/5/i386/os/
[updates]
name=Fedora Core 5 updates
baseurl=http://ftp.kaist.ac.kr/pub/fedora/linux/core/updates/5/i386/
[extras]
name=Fedora Core 5 extras
baseurl=http://ftp.kaist.ac.kr/pub/fedora/linux/extras/5/i386/
[core]
name=Fedora Core 5
baseurl=http://ftp.kreonet.re.kr/pub/Linux/fedora/core/5/i386/os/
[updates]
name=Fedora Core 5 updates
baseurl=http://ftp.kreonet.re.kr/pub/Linux/fedora/core/updates/5/i386/
둘중에 한군데 마음에 드는곳으로 정하면 된다.name=Fedora Core 5
baseurl=http://ftp.kreonet.re.kr/pub/Linux/fedora/core/5/i386/os/
[updates]
name=Fedora Core 5 updates
baseurl=http://ftp.kreonet.re.kr/pub/Linux/fedora/core/updates/5/i386/
이제 yum으로 뭔가 하기가 한결 수월할것이다.
추신 : 혹시 이렇게 설정해서 다운로드 하고 설치하기 직전에
'Header V3 DSA signature: NOKEY' <-- 이런 에러가 발생하면,
다음을 하니씩 실행하면서 yum을 다시 실행시킨다.
$ rpm --import /etc/pki/rpm-gpg/RPM-GPG-KEY-fedora
$ rpm --import /etc/pki/rpm-gpg/RPM-GPG-KEY
보통 첫번째 명령만 실행시키고 나면 설치가 될 것이다.$ rpm --import /etc/pki/rpm-gpg/RPM-GPG-KEY
커널 개발 환경 설정 :
yum update를 하고 나면 커널 버전이 올라가있다.
거기다가 커널 소스나 헤더가 전혀 들어있지 않아서 커널 모듈을 컴파일 할 수 없다.
이것은 yum을 이용하여 커널 헤더를 설치해주면 된다.
yum install kernel-devel
또는
yum install kernel-smp-devel
사용중인 프로세서가 smp를 지원하면(Hyper threading, Dual core, etc..)또는
yum install kernel-smp-devel
당연히 커널도 smp 커널을 사용중일것이고, 따라서 smp 헤더를 받아와야 한다.
nvidia video driver 설정 :
나의 비디오 카드는 Nvidia Geforce 6600GT이다. 기본으로 쓰는 vesa 드라이버는
영화를 보거나 다른 그래픽 가속 기능을 쓸때 제성능이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nvidia에서 제공하는 linux 드라이버를 받아서 설치하기로 하였다.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x-window가 뜨지 않는다.
드라이버를 읽을수 없다는 에러가 뜨는데, nvidia forum의 HOWTO 문서를 침고하라.
설치하는 방법은 nvidia 사이트에 잘 설명되어있고, 그리 어렵지 않으니 생략하겠다.
그냥 다운로드 받아서 런레벨 3으로 바꾼후 실행시키면 된다.
설치후, 설정관련 문서들은 /usr/share/doc/NVIDIA_GLX-1.0/ 아래에 설치된다.
다음부터는 x-window 환경에서 실행하지 않는 명령들이니,
적어놓거나 텍스트를 파일로 저장해놓고 보기 바란다.
깔다가 실패하면 다른컴퓨터 가서 봐야 한다.
드라이버 설치 다 끝나고 종료하면 xorg.conf도 설정이 끝나 있지만,
x-window를 실행하면 제대로 뜨지 않는다.
이것은 SELinux 설정 때문인데, SELinux 전체를 disable 시키지 않고
x-window를 실행시키려면 먼저 아래의 명령을 실행시킨다.
chcon -t texrel_shlib_t /usr/lib/xorg/modules/drivers/nvidia_drv.so
chcon -t texrel_shlib_t /usr/lib/xorg/modules/extensions/libglx.so.1.0.8762
이 밍령을 실행 후 다시 x-window를 띄워서 뜨면 아싸~ 를 외치면 되고,chcon -t texrel_shlib_t /usr/lib/xorg/modules/extensions/libglx.so.1.0.8762
그래도 제대로 안되면 살포시 <alt>+<ctrl>+<F1>을 눌러서 콘솔로 돌아오자.
그리고 가차없이 <Ctrl>+C를 놀러 x-window를 종료시키면,
콘솔에 "무슨 파일을 읽지 못했습니다" 라는 내용의 메세지가 있을것이다.
이 파일을 위의 chcon 명령으로 설정해 줘야 한다.
맨 마지막 인자가 옵션을 설정할 파일 이름이니까 에러가 발생한 파일을 지정하여
실행시켜준다. 그리고 다시 startx를 띄워라.
나의 경우는 권한 없음 에러가 나는 파일을 4갠가 5갠가 수정하고 나서야
x-window가 뜨는걸 볼수 있었다. 인내를 갖고 띄워 보자.
하다보면 뜰 것이다.
nvidia twinview 설정 :
듀얼모니터 쓰고싶어서 vesa 드라이버 안 쓰고 nvidia 드라이버 삽질해가면서 설치하였다.
그런데 lcd 하나화 crt하나를 쓰고 있고, lcd가 왼쪽 crt가 오른쪽에 있다.
그리고 lcd를 주 모니터로 쓰고 있는데, 이노무 드라이버가 crt를 primary로 써 버렸다.
로그인 창이 crt에 뜬다.. ㅜㅜ..
primary 모니터를 옮기는것까진 아직 못했는데, twinview 쓰는것까진 설정 하였다.
이 문서에서는 x-window가 nvidia 드라이버로 정상 부팅이 된다는 전제로 설명하겠다.
옵션을 설정한 xorg.conf 파일의 Device 섹션은 다음과 같다.
Section "Device"
Identifier "Videocard0"
Driver "nvidia"
VendorName "Videocard vendor"
BoardName "nVidia Corporation NV43 [GeForce 6600/GeForce 6600 GT]"
Option "TwinView"
Option "TwinViewOrientation" "LeftOf"
Option "UseDisplayDevice" "DFP, CRT"
EndSection
Identifier "Videocard0"
Driver "nvidia"
VendorName "Videocard vendor"
BoardName "nVidia Corporation NV43 [GeForce 6600/GeForce 6600 GT]"
Option "TwinView"
Option "TwinViewOrientation" "LeftOf"
Option "UseDisplayDevice" "DFP, CRT"
EndSection
주목할 부분은 Option 부분인데,
TwinView 옵션으로 x-window의 듀얼 모니터 설정이 아닌, 비디오카드의 설정으로
모니터 두개로 출력한다. MS윈도 처럼 화면이 가로 해상도가 2배가 되는 효과가 난다.
TwinViewOrientation 옵션으로 화면 베치를 바꿨다. 위에서 말했듯이, CRT가 primary가
되어버려서 화면이 거꾸로 뜨기 때문이다. 마우스 커서가 오른쪽 모니터 오른쪽으로 사라지면
왼쪽 모니터 왼쪽으로 들어오는 그런... ㅜㅜ....
옵션을 설정하면 왼쪽모니터가 왼쪽에 나타나고 오른쪽 모니터가 오른쪽에 나온다.
그러나 그래도 로그인할때 primary 모니터는 crt이다. ㅜㅜ.
UseDisplayDevice는 비디오카드가 감지한 모니터 설정을 무시하고 강제로 설정하는
옵션이라고 하는데, 사실 이 옵션 안 주어도 동일한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CRT를 빼거나 DFP를 빼면 옵션에 빠진 모니터로는 아무런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 설정이 맘에 안들면 아예 옵션을 주석처리 하는것이 좋다.
이렇게 하여 듀얼모니터 설정을 마쳤다.
로그인 화면도 LCD로 옮기고 싶은데, 거기까지는 아직 하지 못했다.
누구 방법 아는사람 없나... ㅡㅡa..
Firefox 에서 flash 보기 :
flash가 있는 페이지에서 아무리 플러그인을 다운로드 받아도 flash가 뜨지 않는다.
다음의 페이지를 참고하라.
페도라5 firefox flash-plu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