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라구..?? ㅡㅡa..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1. 라즈베리 파이 OS 설치
- pi-imager를 사용하여 64bit OS 설치. 이때 ID, Wifi등의 옵션설정은 가능한한 다 해둔다.
- 없는 명령어 실행시 패키지 안내가 나오지 않으면 : command-not-found
- shell에서 자동완성 안되는 경우 : bash-completion
- 한글입력기 설치 : uim uim-byeoru

2. ESP-IDF 설치
- aarch64에서 esp-idf를 사용하려면 다음 패키지가 필요하다 : git python3-pip ninja-build ccache
- eclipse CDT버전을 설치한다. 최신 eclipse는 64bit버전만 있더라.
- idf-eclipse-plugin 내용을 참조하여 툴킷을 설치한다.
- eclipse plugin 설치를 진행하다보면 plugin 자체는 오류로 인해 설치되지 않는데, 첫번째 설치가 끝나고 eclipse 재시작 후 다시 동일하게 설치과정을 진행하면 설치가 된다.
- 첫번째 eclipse plugin 설치시 unknown origin trust를 묻는데, 체크박스 클릭하고 진행한다.
- plugin이 설치되면 메뉴에 Espressif 메뉴가 생긴다. 메뉴를 통해 ESP-IDF를 설치한다.
- ESP-IDF 설치 후 esp-idf tool을 설치해야 하는데, 설치중 오류가 발생하고 멈춘다. xtensa-clang이 arm64용 패키지가 없어서 멈추는데, 쉘에서 다음 명령으로 수동 설치하면 오류 발생 부분을 skip 할 수 있다 : ~/esp-idf-v4.4.2/tools$ python3 idf_tools.py install
- 수동 설치 후 다시 esp-idf tool설치를 수행한다. 이번에는 오류 발생 없이 종료될 것이다.

3. 시험빌드
- sample중에서 하나 골라서 빌드 돌려본다. 여기까지 설정하고 빌드와 실행 모두 잘 되었다.
2022/10/07 06:03 2022/10/07 06:03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이미 실행시킨 프로세스 실행시간이 생각보다 길어졌는데 다시 시작하기도 곤란한 상황일떄 사용하는 방법.

1. reptyr을 사용하여 screen 으로 프로세스를 옮긴다.
링크(Move a running process to screen)를 참고하여 screen으로 옮기면 나중에 확인 가능하다. 그러나 나는 이렇게 하니까 에러가 발생하더라.

2. parent 뗴어내고 출력들만 파일로 저장하도록 하기
위 방법에서 disown으로 프로세스를 떼어내는것까지는 이미 했어서 새 도구(reredirect)를 사용하여 출력값만 파일로 돌렸다.
그러고 나니 터미널을 종료해도 sighup 받지 않았는지 백그라운드로 프로세스는 계속 수행중이다.

앞으로는 좀 불안하면 screen에서 돌리도록 해야겠다.
2020/05/07 06:10 2020/05/07 06:10
Posted
Filed under Linux/tip
내 리눅스 언어 설정은 영어로 되어 있다.
그러나 파일명은 한글을 쓰고 입력기에도 한글입력기가 설정되어 있다.
시스템 언어만 한글로 쓰는 것이다.

메뉴들이나 시스템 세팅 화면에서 번역문이 더 어색하여 그렇게 쓰는데
그러다 보니 파일 매니저나 ls명령에서 한글로된 파일들 정렬 순서가 어색하다.
뭔가 무슨 기준으로 정렬이 된건지 알 수 없는 어색함이다.

그래서 찾아보니 이런 자료가 있더라.

/etc/default/locale 파일에 아래 한줄을 추가한다.
LC_COLLATE="ko_KR.UTF-8"

그리고 재부팅하면 이제 정렬 순서가 맞을 것이다.
2019/01/16 14:26 2019/01/16 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