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라구..?? ㅡㅡa..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난 이걸 폰에서 사진 다운받을 목적으로 쓰고 있다.
블루투스간 파일 전송을 위해선 누군가 서버가 되어줘야 하는데
우분투에는 기본으로 서버가 들어있지 않다. 블루투스 스택은 들어있지만 말이다.
폰에서 사진 전송하려고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해보면
컴터가 보이기는 하나 연결은 안된다. 응답이 없다고 나온다.

설치하는건 간단하다.
$ sudo apt-get install gnome-bluetooth

이거 한방이면 설치는 끝난다.
설치 후 '프로그램->보조 프로그램->Bluetooth File Sharing'이 생길것이고
이것이 파일전송 서버이다.

실행시키면 트레이에 아이콘이 하나 생기고
폰에서 사진 전송하려고 하면 연결을 허용하겠느냐고 묻는다.

적절히 응답하면 파일 전송이 시작된다. 파일 잘 날아온다.
옵션도 없고 무척이나 사용법이 간단하다.
사용법은 여기까지다.


이 프로그램에서 보이는 문제점이 몇가지가 있는데,
일단 옵션창이 없다는 것 이다.
소스코드를 좀 디벼 보면 옵션이 전혀 없지는 않다.
문제는 그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옵션 창이 없다는것이다.
개발자도 TODO에서 그 문제를 얘기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생기는 불편함은 전송된 파일이 저장될 곳을 지정할 수 없다는것이고,
파일 하나하나마다 전송 후 확인 창이 뜬다는것이다.

수동으로 이 옵션을 바꾸고 싶으면, gconf-editor를 띄워서
'/apps/gnome-obex-server'항목으로 가서 그 안의 값들을 수정해주면 된다.
다운로드 경로와 확인창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의 다른 문제는 처음 파일을 전송할때
always accept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신뢰하도록 지정된 장치의 목록을 알 수 없다는것이다.
이것도 gconf-editor에서 수정할 수는 있는데 '/system/bluetooth/device/'아래에 있다.
각 블루투스 장치의 mac어드레스가 나오고 그 안에 신뢰 여부가 들어있는데,
permisson 필드의 값이 2라면 신뢰한다는것이다.
그 값을 지워버리면 파일 전송할때 다시 전송하겠느냐고 묻는다.

이 신뢰 여부는 파일 전송 서버에서 관리하는게 아닌걸로 보이는데
이 설정을 어디에서 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지금까지 알아낸 정보는 여기까지.
2007/10/26 05:51 2007/10/26 05:51
Posted
Filed under Linux/tip
출처는 여기 : Flash 9 에서 한글 보기

리눅스에서 파폭에 플래시 플러그인 깔고 인터넷 돌아다니다 보면
한글이 사각형 박스로 나오는 경우가 왕왕 있다.

한글이 나오는 플래시와 안 나오는 플래시가 무슨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하여간 그 한글을 나오게 할 방법을 소개한다.

다음 내용을 ~/.fonts.conf 파일에 추가한다. 만약 그 파일이 없다면 새로 만들면 된다.

<match>
        <test name="family">
                <string>sans-serif</string>
        </test>
        <edit name="family" binding="strong">
                <string>Dotum</string>
        </edit>
</match>

저기서 Dotum은 원하는 폰트로 바꾸어도 된다고 한다.

파일을 만들고 'fc-match Sans'를 실행시켜 결과가 한글 폰트가 나오면 성공이라고 하는데
그냥 저 파일만 만들어 놓아도 해결 잘 되니까 걱정 하지 말자.
2007/10/21 03:14 2007/10/21 03:14
Posted
Filed under 잡다구리구리


은근히 중독성 있는 시계.
일본의 유니크로라는 회사에서 만든건데 옷 광고를 이렇게 만들었단다.

5초마다 5초씩 춤을 추는 모습이 나온다.
보고 있노라면 왠지 모르게 빠져드는...
2007/10/11 03:56 2007/10/11 0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