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라구..?? ㅡㅡa..

Posted
Filed under Linux/utility
kldp wiki에 vmplayer 자료가 있어서 링크한다.
새로운 가상 시스템을 생성하려면 vmware가 있어야 하지만
이 문서에서는 vmplayer만 가지고서 가상 OS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있다.

KLDPWiki: VM Player
2006/10/10 10:38 2006/10/10 10:38
Posted
Filed under Linux/recommend
리눅스를 쓰다 보니 파이어폭스를 계속 쓰게 되었고,
유용하게 쓰는 파이어폭스 플러그인을 기록하려고 한다.

UnPlug - MediaPlayerConnectivity랑 비슷한 플러그인이다.
둘다 주 사용 용도는 mms스트리밍 방송하는거 다운로드 받으려고 쓴다.
직접 다운로드 해 주는 기능은 없지만, 방송의 주소를 알아내는 용도로 사용한다.
다운로드 해 주는 프로그램을 등록시켜 놓으면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도록 하는것도 가능하다.
조금 써 본 결과 UnPlug가 좀더 쓰기 편하다고 생각된다. 속도도 좀 나은듯 하고.

MediaPlayerConnectivity - 미디어 링크를 외부 플레이어로 실행시켜주는 프로그램이다.
MplayerPlugin도 거의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아직은 어떤 차이가 있고
어느것이 더 좋은지 아직은 잘 모르겠다.
좀 더 써보고 글을 수정하겠다.

Tab Mix Plus - 탭 브라우징 기능을 좀더 세세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새 탭 버튼, 탭 닫기 버튼, ... 탭을 이리저리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2006/09/18 00:53 2006/09/18 00:53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네트워킹 시작 스크립트로 해서 네트워킹이 제대로 동작하면 참 다행이지만,
리눅스를 쓰다보면 그렇게 해서 안되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럴때는 네트워킹 옵션을 수동으로 조절해가면서 동작시켜야 하지 않겠는가?

ubuntu에서 쓰는 방법인데, 레드햇 계열에서도 응용하면 거의 될걸로 본다.
레드햇 계열에서 테스트는 안해봤다.

무선랜의 essid를 설정한다.
# iwconfig eth0 essid NESPOT
eth0은 당연히 자신의 네트워크 카드 인식 이름을 써줘야 하고,
NESPOT 부분은 자신이 사용할 essid를 적어주어야 한다.
나의 경우에는 대부분 이 설정이 제대로 안돼서 수동으로 네트워킹을 설정하곤 한다.
학교에서 NESPOT 대신에 sktelecom이 자동으로 인식되곤 하는데,
재시작시켜도 또 sktelecom을 잡아서 수동으로 설정한다.

네트워크를 활성화 시킨다. 여기서부터는 유선이나 무선이나 모두 적용된다.
# ifconfig eth0 up
이제 시스템이 eth0 인터페이스가 동작중인것으로 인식하고 여기로 패킷을 보낸다.
ifconfig는 네트워크에 대한 일반적인 설정을 한다.
유선네트워크 설정도 대부분 여기서 한다.
무선네트워크에 대한 설정은 iwconfig에서 한다.

IP정보를 가져온다.
# dhclient eth0
IP, gateway, dns등의 정보를 가져와서 eth0인터페이스에 설정한다.

이제 네트워크가 동작할것이다.
2006/06/18 23:13 2006/06/18 23:13
Posted
Filed under Linux/utility
mplayer(gmlayer 동일)에서 한글로 된 자막을 보려면 설정을 다음과 같이 한다.
gmplayer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설정 창이 따로 있어서 설정하기 쉽기 때문이다. ㅡㅡ;

Preferences -> Font 에서 :
Font 파일을 한글이 지원되는 폰트로 설정한다.
- 일반적으로 /usr/share/fonts 아래에 있다. 은폰트건, 백묵폰트건...
Encoding은 Unicode로 설정한다.

Subtitle & OSD 에서 :
Encoding을 Korean charset (CP949) 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한글 자막을 볼 수 있다.
설정이 맞지 않으면 콘솔로 SUB: error recoding line (1) 에러가 뜬다.
2006/06/13 03:00 2006/06/13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