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라구..?? ㅡㅡa..

Posted
Filed under Linux/tip
가차없이 다음 명령을 실행시킨다.
sudo apt-get install lrzsz

이 패키지를 설치하면 파일 전송이 잘 될 것이다.
minicom을 다시 시작할 필요는 없다.
그냥 연결 유지한 채 설치하고 파일 전송을 다시 하면 된다.
2007/11/29 09:19 2007/11/29 09:19
Posted
Filed under Linux/tip
일단 참조 문서부터.. : Gutsy Sound Juicer wont rip to MP3

Sound Juicer는 우분투에서 기본으로 사용되는 음악 CD Ripper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띄우고 '기본 설정' 메뉴에서 출력 형식을 지정할 수 있는데,
gutsy에서 프로그램 띄우고 출력 형식을 보면 mp3가 없다.
조금 더 황당한건 프로파일 편집 버튼을 눌러보면 여기에는 mp3가 있다.

mp3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당연하게도.
콘솔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시킨다.

sudo apt-get install gstreamer0.10-plugins-ugly-multiverse

이 패키지를 설치하고 Sound Juicer를 재시작하면 출력 형식을 mp3로 선택 할 수 있을것이다.
2007/11/28 06:07 2007/11/28 06:07
Posted
Filed under Linux/utility
일단 링크부터 걸자 :
    Windows에서 PostScript 파일로 프린트 하기, PS 파일을 PDF로
    PDFCreator

이 문서를 발견한건 세상의 어떤 블로거가 hwp파일을 리눅스에서 보려니
속터지더라~ 라는 얘기에서 시작했다.

포스트 스크립트 가상 프린터를 설치하고 인쇄한 후
그걸 직접 읽거나 pdf로 변환 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나도 아직 시험해 보진 않았지만 프린터로 인쇄되는 그대로 정말 잘 인쇄된다면
대단히 쓸만한 물건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웬만한 프로그램들에서 pdf로 저장해도
화면에서 보던 그대로 저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나중에 시험 해 봐야겠다.

수정:
PDFCreator라는 프로그램이 소개 돼 있었는데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가상 프린터로 설치 해서 사용하는데
바로 pdf파일로 출력해 준다고 한다.

한글이 제대로 나올지, 얼마나 잘 동작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더 편한듯 하니 함 써 봐야겠다.

수정2:
PDFCreator를 쓰고 있는데, 한글 문서 출력하면 빈 문서가 출력되고
2번째 페이지에 에러메세지만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제어판 > 프린터 및 팩스 > PDFCreator(가상 프린터) 우클릭 > 속성 > 장치설정'에서
'Output Protocol' 옵션이 있다. ASCII를 선택한다.
그리고 인쇄를 시작하면 뜨는 PDFCreator 창에서부터
'Options > 새로 뜬 옵션창에서 Formats 메뉴의 PDF 항목 > Convert binary data to ASCII85 선택'
하면 된다.

2007/11/21 23:14 2007/11/21 23:14
Posted
Filed under Life
처음으로 본 공인 토익 성적이 나왔다.
570점 받았다.

생각보다는 잘 나왔는데 그게 또 걱정이다.
이번달 토익 시험을 벌써 신청해 놨는데 이거 어떡하나.
시험날 사외교육이 잡혀 있는데, 그거 꼭 가고 싶다.
토익 시험은 일요일이고, 교육 일정은 토,일 이틀간이다.

시험을 보자니 교육을 듣고 싶고,
교육을 듣자니 토익 신청한 돈이 아깝다.
지금 성적으로 입사까지 문제는 없지만
창의 과제 지원금이 10만원이나 차이가 난다.

제길.. 어정쩡한 성적때문에 이모저모 고생이군.
영어를 하긴 해야 하는데
토익은 이리저리 고달프다.
2007/11/18 16:36 2007/11/18 16:36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거창한 강좌를 쓰는건 아니고,
우분투에서 디렉토리 공유 툴은 잘 되어 있는데,
문제는 공유를 해 놓고 프로세스가 돌아도 연결이 안된다는거..

공유 걸어놓고 윈도에서 연결하면 id/pass 창이 뜨는데
분명히 제대로 연결해도 계속 id/pass 만 묻는다. ㅡㅡ;

이건 우분투 7.10 버그이고 해결법은 다음의 명령을 쉘에서 입력한다.
$ sudo smbpasswd username -a
명령에서 username은 자기가 로그인할 아이디로 바꿔주면 되고,
그  다음부터는 윈도에서 정상적으로 연결이 된다.

문제는 윈도에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전송하는데,
우분투의 패스워드 목록에 저 사용자가 없기 때문이고,
7.10에서 툴을 잘못 만들거나 시스템을 잘못 설계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이전 버전까지는 이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안해봐서 잘 모르겠지만서도..

추신 :
이전 버전 삼바서버 설치 문서를 보니
예전부터 수동으로 사용자 추가 하라고 되어 있었다.
불편하긴 하지만 보안을 위해서는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긴 하나
GUI로 서버를 설정할수 있게 한다면
사용자도 GUI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2007/11/05 14:46 2007/11/05 1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