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라구..?? ㅡㅡa..

supergolila

^^ 공부좀하고 있남?^^
Subversion, Jira issue tracking, WAS, Weblogic, EJB, Spring, Hibernate... 등등
이런거 공부좀 해봐봐^^ 재밌을거야^^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네트워킹 시작 스크립트로 해서 네트워킹이 제대로 동작하면 참 다행이지만,
리눅스를 쓰다보면 그렇게 해서 안되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럴때는 네트워킹 옵션을 수동으로 조절해가면서 동작시켜야 하지 않겠는가?

ubuntu에서 쓰는 방법인데, 레드햇 계열에서도 응용하면 거의 될걸로 본다.
레드햇 계열에서 테스트는 안해봤다.

무선랜의 essid를 설정한다.
# iwconfig eth0 essid NESPOT
eth0은 당연히 자신의 네트워크 카드 인식 이름을 써줘야 하고,
NESPOT 부분은 자신이 사용할 essid를 적어주어야 한다.
나의 경우에는 대부분 이 설정이 제대로 안돼서 수동으로 네트워킹을 설정하곤 한다.
학교에서 NESPOT 대신에 sktelecom이 자동으로 인식되곤 하는데,
재시작시켜도 또 sktelecom을 잡아서 수동으로 설정한다.

네트워크를 활성화 시킨다. 여기서부터는 유선이나 무선이나 모두 적용된다.
# ifconfig eth0 up
이제 시스템이 eth0 인터페이스가 동작중인것으로 인식하고 여기로 패킷을 보낸다.
ifconfig는 네트워크에 대한 일반적인 설정을 한다.
유선네트워크 설정도 대부분 여기서 한다.
무선네트워크에 대한 설정은 iwconfig에서 한다.

IP정보를 가져온다.
# dhclient eth0
IP, gateway, dns등의 정보를 가져와서 eth0인터페이스에 설정한다.

이제 네트워크가 동작할것이다.
2006/06/18 23:13 2006/06/18 23:13
Posted
Filed under Linux/utility
mplayer(gmlayer 동일)에서 한글로 된 자막을 보려면 설정을 다음과 같이 한다.
gmplayer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설정 창이 따로 있어서 설정하기 쉽기 때문이다. ㅡㅡ;

Preferences -> Font 에서 :
Font 파일을 한글이 지원되는 폰트로 설정한다.
- 일반적으로 /usr/share/fonts 아래에 있다. 은폰트건, 백묵폰트건...
Encoding은 Unicode로 설정한다.

Subtitle & OSD 에서 :
Encoding을 Korean charset (CP949) 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한글 자막을 볼 수 있다.
설정이 맞지 않으면 콘솔로 SUB: error recoding line (1) 에러가 뜬다.
2006/06/13 03:00 2006/06/13 03:00
Posted
Filed under Linux/vi
ubuntu의 경우 다음의 명령으로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vim-gnome

설치할수 있는 vim종류가 여러가지 있지만, 이리저리 설치해본 결과로
vim-gnome 패키지를 설치하는게 가장 이상없이 잘 동작하였다.

패키지마다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내부는 거의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Fedora core 5 의 경우 설치 디스크에 rpm 패키지로 들어있다.



그리고 기본으로 들어있는 컬러 스킴 외에 다른 스킨을 써 보고 싶다면,
여기에서 찾아보기 바란다. vim 홈페이지의 컬러 스킴 목록으로 연결된다.
추천하는 다운로드는 Colors Sampler Pack이다. 많이 쓰이는 컬러 스킴을
모아놓은 배포판 스타일의 스킴인데, 설치하면 gvim 메뉴에 Theme라는 스킴
관리 메뉴가 따로 생겨서 사용하기 쉽다.
2006/06/04 14:26 2006/06/04 14:26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6월 1일부로 ubintu 6.06 (DapperDrake)가 릴리즈 되었다.

개선사항은 알아서 찾으시고, (ㅡㅡ;)
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했던 기록이다.
지우고 새로 설치한다면 이 글을 볼거 없다. 다른 좋은 글 많이 있다.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몰라서 ubuntu 사이트를 이리저리 뒤져보다가
발견하였다.

DapperUpgrades : ubuntu wiki이다. 이 글은 여기에 있는 내용을 대충번역 & 설명이다.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에는 크게 세가지 방법이 있다.
1. UpdateManager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2. 쉘에서 명령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3. alternate CD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나는 3번 방법을 이용하였다.
일단 다운로드 받아서 시디로 구워버린다음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을 몰라서
이리저리 찾다가 네트워크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는걸 알았다. ㅡㅡ;
그러나 일단 다운로드 받아서 CD로 구워놨는데, 다시 다운받는다는건
대단한 삽질이자 뻘짓이므로 CD로 업그레이드 하기로 하였다.

CD로 업그레이드할때는 반드시 alternate CD가 있어야 한다.
desktop 이나 server CD는 오로지 새로 설치밖에 할 수 없다.

2번과 3번 방법은 비슷하다.
root 권한으로 /etc/apt/sources.list 파일을 편집기로 연다.
유요한 라인(주석이 아닌 라인)의 'breezy'를 'dapper'로 모조리 바꾼다.
저장하고 편집기를 종료한 후,

3번 방법으로 업그레이드 하려면 다음의 명령을 실행한다.
sudo apt-cdrom add
CD를 넣으라고 나올것이다. CD를 넣고 엔터를 누르면 CD를 막 읽으면서
뭔가 설정을 할 것이다.

이제는 실제 업그레이드를 수행 할 차레인다. 2, 3번 방법 모두 다음의 명령을
실행한다.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dist-upgrade
한참을 다운로드 받던지, CD를 읽던지 하면서 열~~ 심히 업그레이드 할 것이다.

시간 꽤 걸리므로 인내를 가지고 기다려야 하고, 설정 할때 이전 시스템 설정과
새 시스템 설정이 충돌한다면 경고를 보여줄것이다. 적절히 선택하자.

설치가 다 끝나고 쉘로 돌아오면 업그레이드가 끝난것이다.

그러나 업그레이드 한 후에는 이전 버전에서 사용하던 패키지나 설정이 없어지는것이
있으므로 이 컴퓨터에서 하던 작업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여 필요한 설정을 추가로
해야 한다.
2006/06/03 16:36 2006/06/03 16: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