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라구..?? ㅡㅡa..

Posted
Filed under Linux/system
아무래도 학교에 있는 서버를 가상호스팅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고민중이다.
근데 가려고 하는 업체들 중에서 우분투 지원하는곳은 영 못써먹겠고
좀 괜찮다 싶은곳은 CentOS하고 페도라밖에 지원을 안 한다. 된장.

그래서 시험삼아 가상머신에 CentOS 5.3버전을 설치 해서 세팅중이다.
근데 이게 영 쉽지가 않다. 우분투 설정할때는 딱히 뭐 해준게 없다 싶은데
이노무 OS는 거꾸로 뭔가 되는게 없다.

일단 OS 설치가 완료된 후 해야 할 작업이다.
  • chkconfig 명령어 이용해서 부팅때 실행될 프로그램 관리한다.
  • Textcube 압축풀고 설치하려 하는데 DB설치 단계에서 에러도 없는데 넘어가질 않는다.
  • 기본적으로 방화벽이 설정되어 있어 mysql을 네트워크 관리하려 하면 연결이 되지 않는다.
    iptable을 수정하여 3306포트를 열어 주어야 한다.
  • php-mysql 모듈을 설치 해 주어야 한다.
  • httpd.conf 파일을 수정하여 AllowOverride 옵션을 FileInfo로 바꿔주어야 한다.
일단 이렇게 하니까 동작은 하는듯 하다. DB에 연결하다 에러가 나긴 하지만...
그래도 대책없이 손가락만 빨고 있는것 보다는 에러메세지가 더 반갑지 않은가?
2009/07/02 17:56 2009/07/02 17:56
Posted
Filed under windows
탐색기 하위 디렉토리 자동표시 끄는 방법
(XP : 탐색기에서 폴더를 클릭하면 하위 폴더가 자동으로 확장되는 기능 제거하는 방법)

레지스트리 에디터 열어서 아래 키값을 찾아 0으로 바꾼다.
없으면 만들어라. ㅡㅡ;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Advanced\FriendlyTree

탐색기를 다시 실행시키면 적용된다.
좋다~
2009/07/01 16:46 2009/07/01 16:46
Posted
Filed under Linux/tip
일단 참고자료 부터.. Multiple Firefox instances with different network settings

인터넷 연결하는데 프록시를 사용한다.

그런데 가상서버를 가지고 작업을 하다가 호스트에서 가상서버로
웹 테스트를 하려는데 연결이 되질 않는게 아닌가.
뭐가 문제인지 고민하다가 '혹시..?'하는 마음에 프록시를 제거하니
잘 된다. 아무 문제 없다.

프록시 설정에 가상서버 IP가 별도로 지정되어있질 않으니
가상서버에서 도는 내용을 프록시에서 찾아봤자 있을리가 없다.
그러니까 브라우저 설정을 바꾸면 문제는 해결 되는데 다른 문제가 걸린다.
매번 브라우저 쓸 때마다 설정 바꿔가면서 쓰자니 좀 성가시다.
게다가 인터넷 쓸 때는 가상서버 연결이 안되고, 가상서버 쓸 때는 인터넷이 안된다.
또 어찌 좋은 방법이 없을까 생각을 하다가 브라우저 설정을 독립적으로 해서
두개 돌릴 방법이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인터넷을 뒤져서 해결책을 찾았다.

파이어폭스 자체로 프로파일을 지원한다고 한다.
그런데 그냥 설치해서 쓸 때는 default 프로파일을 자동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검색해 보기 전 까지는 몰랐다.
프로파일을 바꿔주면 완전히 다른 설정으로 동작 시킬 수 있다.
또한 백업할때 프로파일 디렉토리를 백업하고 복구시키면
원래 사용하던 설정으로 돌아올 수도 있다.

방법을 설명하자.
먼저 열려있는 파폭을 모두 종료시키고 콘솔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파폭을 띄운다.
filefox -ProfileManager

그러면 프로파일 매니저 창이 뜰 것이다. 새 프로파일을 등록하고 띄우면
마치 파폭을 처음 설치했을때 처럼 동작할 것이다.
이제 설정을 만져주면 새로 생성한 프로파일에 저장된다.

그러나 문제가 있는데, 이제 파폭 아이콘을 클릭하여 띄우면
계속 새로 만든 프로파일로 뜬다.
이걸 또 해결하기 위해 다시 프로파일 매니저를 띄워
원래 사용하던 프로파일로 돌아간다.

새로 만든 프로파일을 임시로 사용하려면 다음 명령을 이용해서 파폭을 띄우면 된다.
firefox -P newprofile -no-remote

이렇게 실행시키면 새로 만든 프로파일로 뜬다. 다만 이번 한번만 뜨니까
매번 이렇게 옵션을 줘서 실행시켜야 한다.
이것도 불편하니 파폭 아이콘을 복사해서 프로그램 명령줄에 옵션을 박아 놓는다.

이렇게 하면 실행시키는 아이콘에 따라 파폭이 다르게 뜬다.
이제 편해졌지 않은가?
2009/06/19 16:20 2009/06/19 16:20
Posted
Filed under Linux/tip
이거 또 웬 삽질기인가..
이래서 RTFM이라는 말이 나온 걸지도 모르겠다.

# mount -t vboxfs hostshare /media/share
mount: unknown filesystem type 'vboxfs'
메뉴얼에는 파일시스템으로 마운트 시키라고 되어 있었는데
저 평범한 명령어에 비범한 에러 메시지가 튀어 나온다.

게스트 확장을 설치하면 다 된다고 되어 있어서 설치 했고,
설치하니까 마우스 동작이 제대로 잘 되길래 다 된줄 알았는데
왜 공유 디렉토리는 에러가 나는가?
혹시나 하는 마음에 다시 설치하고 돌려 봤는데 똑같이 에러가 난다.

해결하고나서 보니 정말 메뉴얼대로 했다면 에러가 안 나는게 맞는데
메뉴얼에 딱히 강조가 없다.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간듯 하다.
# mount -t vboxsf hostshare /media/share
샹.. 뭐가 바뀌었는지 알겠는가??
버추얼박스 파일시스템이라고해서 vboxfs라고 생각하고 넘어간게 잘못이었다.
구글 뒤지다가 구글이 vboxfs와 vboxsf를 동시에 찾아줘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메뉴얼을 확인하니
vboxfs는 솔라리스에서 쓰고
vboxsf는 리눅스에서 쓴단다. ㅡㅡ;


확실히 메뉴얼을 제대로 읽어볼 필요는 있겠다.
메뉴얼을 이렇게 가볍게 써 놓은 작성자에게 별별 욕을 다 하더라는 한이 있더라도.
2009/06/03 14:45 2009/06/03 14:45
Posted
Filed under Life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강좌
스톡데일 패러독스

검색엔진 여기저기서 검색해보면 많이 나올듯.
읽어볼 만하다.
2009/05/18 16:10 2009/05/18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