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라구..?? ㅡㅡa..

Posted
Filed under Linux/tip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 뒤지다가 gnome-mplayer라는 패키지를 발견했다.
설치 하고 실행해 보니까 괜찮은 재생기다.
일단 노틸러스에서 바로 실행시켜도 에러가 나지 않는다.
gmplayer는 파일 이름 인코딩 문제로 계속 에러나서 못 쓰고 있었다.

근데 이 프로그램 설정에는 mplayer에 대한 옵션이 제대로 없다.
한글 자막이 깨져서 나오는데 옵션에 해당 설정이 없다. gmplayer에는 있는데..
그래서 어째야 하나 하고 파일을 뒤져보니까 mplayer 자체 설정 파일이 있단다.
근데 gmplayer설정 파일과 옵션이 맞지 않아서
한참 삽질한 끝에 mplayer용 설정 파일을 만들어 냈다.

이것이 내가 사용하는 mplayer 설정 파일이다.
이 내용을 ~/.mplayer/config 파일로 저장한다. 만약 없다면 만든다.
# Write your default config options here!

[default]
framedrop=yes
font=/usr/share/fonts/truetype/unfonts/UnDotum.ttf
subcp=cp949
subfont-autoscale=3
msglevel=all=0
굵게 표시된 부분이 자막을 한글로 제대로 처리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나머지는 내가 필요해서 설정한 것이니 저 두 줄에 주목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폰트 파일이 맘에 안든다면 다른 한글 폰트로 바꾸어 주어도 상관은 없다.
단 subcp 옵션은 바꾸면 안된다. 바로 깨진다.

저장하고, 실행중인 mplayer가 있다면 종료하고 재시작한다.
반드시 종료하고 재시작 해야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2008/04/27 08:43 2008/04/27 08:43
Posted
Filed under Linux/tip
참고 자료 : Configuring a Multi-Button Mouse

무선 키보드 + 마우스를 쓰고 있다.
아이락스 NEW RF-6570 모델을 쓰고 있는데,
출시기념 이벤트에서 잽싸게 낚아서 잘 쓰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키보드는 별 다를거 없이 잘 동작하는데,
마우스가 조금 아쉬운게 있다.

사진 보면 알겠지만 엄지손가락 부분에 버튼이 2개 더 있다.
그래서 마우스가 7버튼 마우스인데, 그 버튼 2개가 동작하지 않는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오동작 한다고 봐야 하겠지만. 쩝.

어떻게 인식되는지 보니까 버튼 2, 3번으로 인식된다.
물론 2, 3번 버튼도 그대로 인식한다.

윈도우에서는 잘 동작하는것으로 봐서 하드웨어 고장은 아니고
따라서 당연하게도 드라아버 문제라는걸 알 수 있다.
지금까지는 그냥 아무생각없이 버튼 안 쓰고 살았는데,
왠지 멀쩡한 버튼 두개 못 써먹는다는게 성질나서 인터넷을 뒤졌다.

이제 해결방법을 말해보자.
일단 가장 중요한 링크는 앞서 달아 놓았으니  좀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한 사람은
가 보도록 하자. 그닥 어려운 영어가 없으니 읽어보기 바란다.

'imwheel'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universe 저장소에(맞나.?) 있으니
저장소 추가하고 apt-get으로 설치한다. 이 패키지가 없어도
7버튼 모두 동작하기는 하나, 내 경우 엄지손가락 버튼 2개가
좌,우 스크롤 버튼으로 동작하는걸 확인했다. ㅜㅜ.
imwheel 프로그램은 저 입력을 잡아서 원하는 동작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이제 다운받은 imwheel 프로그램을 설정해야 한다.
먼저 부팅할때 자동으로 실행되게 할 것이다.
/etc/X11/imwheel/startup.conf 파일을 열어서
'IMWHEEL_START=0'을 'IMWHEEL_START=1'로 바꾼다.

다음으로 어떤 동작을 할 것인지 설정하는데,
~/.imwheelrc 파일을 열어서(없으면 만든다) 다음 내용을 추가한다.
"^Firefox-bin$"
None,Left,Alt_L|Left
None,Right,Alt_L|Right
이 설정은 6, 7번 버튼을 브라우저 뒤로, 앞으로 기능으로 매핑한다.
파일을 저장하고 닫는다.


이것으로 imwheel 설정은 끝났다. 이제 X윈도 설정을 할 것이다.
/etc/X11/xog.conf 파일을 열어 마우스 설정 부분을 찾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Section "InputDevice"
    Identifier    "Configured Mouse"
    Driver        "mouse"
    Option        "CorePointer"
    Option        "Device"    "/dev/input/mice"
    Option        "Protocol"    "AUTO"
    Option        "Buttons"    "7"
    Option        "ZAxisMapping"    "4 5"
    Option        "ButtonMapping"    "1 2 3 6 7"
    Option        "Emulate3Buttons"    "false"
EndSection

굵게 표시된 부분이 내가 수정한 부분이다.
다 고쳤으면 저장하고 닫는다,



이제 작업은 끝이다.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X윈도를 재시작 해야 한다.
가차없이 Alt+Ctrl+Backspace를 눌러버린다.
X윈도가 재시작한 후 다시 로그인해서
파폭 띄워서 여기저기 다녀보면
잘 동작하는걸 확인 할 수 있을것이다.

~/.imwheelrc 파일에 설정을 더 추가하면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특별한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으니
원하는 사람은 인터넷 좀 더 찾아보기 바란다.
2008/03/28 09:37 2008/03/28 09:37
Posted
Filed under Linux/tip
출처는 여기 : 우분투, SSH에서 한글 깨짐 문제 해결하기


우분투 EUC-KR 설치

# sudo apt-get install language-pack-ko
# sudo locale-gen ko_KR.EUC-KR

GNOME 한글세팅은 여기서

1. /etc/environment 설정값 바꾸기
$ sudo vim /etc/environment


2. 환경 바꾸기
LANG="ko_KR.UTF-8"
LANGUAGE="ko_KR:ko:en_GB:en"


위에와 같이 선택이 되어있다. EUC-KR를 추가해주자.

LANG="ko_KR.UTF-8"
LANG="ko_KR.EUC-KR"
LANGUAGE="ko_KR:ko:en_GB:en"


3. 재부팅한다.

2008/03/28 07:32 2008/03/28 07:32
Posted
Filed under Linux/tip
관련 자료 링크 : Feisty Phoenix cardreader /dev/ttyUSB0 problem

리눅스에서 웬만한 하드웨어들은 그냥 갖다 꽂기만 하면 동작한다.
윈도에서 뭔 드라이버네 어쩌네 저쩌네 하는거 다 필요없다.
진짜 웬만한것들은 꽂았을때 인식 못하거나 동작 안하면 못 쓴다고 생각해도 큰 무리 없을정도다.

그런데 드라이버는 아무 문제 없는데 동작 안 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도 그 중의 하나인데, usb serial converter가 동작 안하는 경우를 발견했다.
문제가 생기는 배포판은 ubuntu 계열인데 문제는 이 배포판이 너무(?) 친절해서 그렇다.

usb를 꽂았을때 커널 메세지에 이런 로그가 남았다.
[ 1997.017531] usb 1-2: new full speed USB device using uhci_hcd and address 2
[ 1997.213556] usb 1-2: configuration #1 chosen from 1 choice
[ 1997.264851] /build/buildd/linux-source-2.6.22-2.6.22/drivers/usb/serial/usb-serial.c: USB Serial support registered for FTDI USB Serial Device
[ 1997.265210] ftdi_sio 1-2:1.0: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detected
[ 1997.265409] /build/buildd/linux-source-2.6.22-2.6.22/drivers/usb/serial/ftdi_sio.c: Detected FT232BM
[ 1997.266422] usb 1-2: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now attached to ttyUSB1
[ 1997.266610]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ftdi_sio
[ 1997.266613] /build/buildd/linux-source-2.6.22-2.6.22/drivers/usb/serial/ftdi_sio.c: v1.4.3:USB FTDI Serial Converters Driver
[ 1997.493547] usb 1-2: usbfs: interface 0 claimed by ftdi_sio while 'brltty' sets config #1
[ 1997.497538] ftdi_sio ttyUSB1: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now disconnected from ttyUSB1
[ 1997.497771] ftdi_sio 1-2:1.0: device disconnected
문제가 발생한 부분이 위에서 굵게 표시된 부분인데
brltty 라는 시스템의 설정과 충돌한다는 의미이다.

인터넷을 뒤져본 결과 한글 문서도 있긴 한데,
brltty라는 서비스는 시각장애우를 위한 점자 터미널 지원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가 필요하다면 FTDI 칩을 사용하지 않는 시리얼 컨버터를 사용하던가
(있긴 있다. 파란색 반투명한 색으로 된거.. 제조사.모델명 미상...),
아니면 저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다면 지우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점은 서비스를 중단시키는것만으로는 안되고,
저 패키지들을 지워버려야 한다.

시냅틱스 패키지 관리자에서 brltty 패키지를 찾아 지우던가
콘솔에서 지우던가... 하여간 지워라.

그리고 나서 컨버터 꽂으면 이상없이 잘 작동한다.
커널 로그도 당연히 정상이다.
2007/12/29 18:01 2007/12/29 18:01
Posted
Filed under Linux/tip
원본이 aaa 파일(또는 디렉토리)이고, 수정본이 bbb 일때,
이 소스들의 패치파일 ccc.patch 를 만드는 명령이다.

$ diff -urN aaa bbb > ccc.patch

u 옵션은 변경된 라인의 앞뒤로 3줄씩을 더 표시하여 보기 쉽도록 하는 옵션이고,
r 옵션은 지정한 곳에서 하위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검사하도록 하는 옵션이고,
N 옵션은 수정본에 새로운 파일이 생겼을때 이를 표시하도록 하는 옵션이다.

그냥 이대로 쓰면 패치 잘 먹는다. ㅡㅡ;
참고로 패치 적용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다.
$ patch -p1 < ccc.patch
이 명령을 소스트리의 루트에서 실행시키면 된다.
2007/12/02 01:44 2007/12/02 01:44